한국은행, 2023년 2월 발표, 올해 경제성장률 1.6% 전망

Post Views: 102UPDATEED: 2023-02-26 08:18:20https://webdraw.net/?p=7360
한국은행, 2023년 2월 발표, 올해 경제성장률 1.6% 전망
▲ 경제 전망

금년 세계성장률은 지난해보다 둔화되겠으나 당초 예상보다는 다소 높은 수준을 나타낼 전망


4/4분기중 글로벌 경기는 주요국 금리인상, 중국 코로나 확산 등으로 약화흐름이 지속되었으나 예상보다는 그 정도가 완만


금년에도 둔화흐름이 이어지겠으나 중국 리오프닝, 미국·유럽의 경기연착륙 기대 등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점차 개선될 전망


■ 세계교역은 상품교역을 중심으로 둔화흐름이 지속될 전망


향후 상품교역은 글로벌 경기부진으로 당분간 둔화 흐름을 나타내겠으나, 서비스교역은 중국의 해외여행 재개 등으로 완만하게 회복될 전망


■ (미국)금리상승 영향으로 성장세가 둔화되겠으나 양호한 고용상황 등으로 둔화 정도는 완만할 전망


4/4분기 성장률이 예상을 웃돌고 1월 고용·소매판매도 큰 폭 증가


올 들어서도 견조한 고용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오름세가 더디게 둔화되면서 최근 미 연준의 최종금리수준 기대가 상승(12월말 4.75~5.00%→2.16일 5.25~5.50%)


■ (유로지역)경기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에너지 수급차질 완화 등으로 경기침체 가능성은 다소 축소


4/4분기중 실질구매력 저하 등에도 겨울철 온화한 날씨로 에너지 수급우려가 완화되면서 예상과 달리 플러스 성장을 기록


향후 통화긴축의 영향과 에너지 수급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둔화흐름이 이어질 전망


■ (일본)회복세가 완만할 전망


4/4분기중 소비개선 등으로 성장세를 이어갔으나 글로벌 경기둔화의 영향으로 모멘텀이 약화


향후 외국인 관광객 증가, 설비투자 확대 등으로 경기가 완만히 회복될 전망이나 통화정책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


■ (중국)펜트업 수요에 힘입어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세가 강화될 전망


4/4분기중 코로나 확산 등으로 부진하였으나 금년 들어 이동성 지표가 반등하고 기업심리도 큰 폭 개선


방역조치 해제와 정부 정책지원 등에 힘입어 향후 소비가 회복되면서 경기회복세가 점차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


다만 부동산경기 부진, 대외수요 둔화 등이 성장의 제약요인으로 잠재해있어 회복속도의 불확실성은 큰 상황


■ (신흥국)성장세가 둔화될 전망


아세안5국은 대외수요 둔화로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세가 약화될 전망


인도는 수출증가율이 다소 둔화되겠으나 내수를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


브라질은 원자재가격 하락 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


러시아는 EU 등의 경제제재가 지속되면서 부진한 흐름이 이어질 전망


■ (국제유가)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배럴당 80달러 초반 수준에서 등락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로 하락하였으나 중국 수요회복 기대 등이 하락세를 제한


향후 국제유가는 공급측 불확실성이 상존하는 가운데 중국 리오프닝 등으로 높은 수준을 지속할 전망


▪對러 추가제재 및 러시아 감산, 산유국의 공급 변화 등에 따라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


■ (기타원자재)천연가스 가격은 유럽의 온화한 날씨 등으로 큰 폭 하락하고 비철금속은 중국 수요회복 기대 등으로 상승


곡물 가격은 지난 4/4분기 이후 대체로 횡보하는 모습


주요 기관은 천연가스 가격은 안정세를 이어가고, 비철금속은 공급여건에 따라 상품별로 차별화될 것으로 전망

출처: 한국은행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텀블러
  • 링크드인
  • 카카오톡 보내기
  • 네이버밴드
  • 네이버블로그
  • pint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