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4분기 승용차 교역현황
(금액) 2022.4분기 승용차 수출액은 141억 달러(전년동기대비 +25.9%)로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수입액은 40억 달러로(+37.0%) 증가
(대수) 수출대수는 65만 대로(전년동기대비 +21.9%) 증가, 수입대수는 10만 대로(+37.8%) 증가
1. 수출
(국가별)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캐나다, 호주, 독일 순으로
미국(+55.4%)·캐나다(+23.1%)·호주(+40.2%)·독일(+67.8%)·영국(+8.8%)·이스라엘(+31.1%)·사우디아라비아(+4.0%)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프랑스(△10.2%)·네덜란드(△9.4%)·스웨덴(△25.8%) 등 전년동기대비 감소
(종류별)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46억 달러(전년동기대비 +26.2%)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차량용 반도체 수급 상황이 개선된 가운데 친환경차 수요가 확대되며 친환경 승용차 수출은 꾸준한 성장세
* 친환경차 수출 수량(만대) :(2021.4분기) 12.8→ (2022.1분기) 12.3→ (2분기) 13.2→ (3분기) 14.8→ (4분기) 15.7
* 친환경차 수출액(억달러) :(2021.4분기) 36.7→ (2022.1분기) 35.9→ (2분기) 36.9→ (3분기) 40.5→ (4분기) 46.3
* 하이브리드(16.6억 달러, 비중 11.7%), 플러그인하이브리드(3.5, 2.5%), 전기차(26.2, 18.6%)
미국(+57.4%)·영국(+11.0%)·독일(+69.4%)·이스라엘(+33.9%)·스페인(+14.4%)· 벨기에(+15.4%) 등으로 수출액 전년동기대비 증가
2. 수입
(국가별) 주요 수입 대상국(금액기준)은 독일, 미국, 오스트리아, 영국 순으로
독일(+42.5%)·미국(+36.0%)·오스트리아(+108.5%)·영국(+51.8%)·슬로바키아(+118.3%) 등은 전년동기대비 증가, 일본(△62.2%)·이탈리아(△31.4%)·벨기에(△66.1%) 등은 감소
(종류별) 친환경차(전년동기대비 +39.4%), 중형차(+67.8%) 위주로 증가
* 친환경차(수입비중 45.3%), 중형차(30.0%)
4분기 친환경차 수입액은 18.3억 달러(+39.4%), 수입비중은 45.3%를 기록하며 전체 승용차 수입 증가를 주도
* 하이브리드(11.9억 달러, 비중 29.3%), 플러그인하이브리드(1.2, 3.0%), 전기차(5.2, 12.9%)
* (2021.2분기)48.7→ (3분기)46.6→ (4분기) 44.5→(2022.1분기)44.8→ (2분기)46.9→ (3분기)51.1→ (4분기)45.3
3. 수출입 단가
(수출) 승용차 수출 평균단가(대당)는 21,833달러(전년동기대비 +3.3%)로 상승, 수입 평균단가는 41,790달러(△0.6%)로 하락
친환경차 수출단가는 29,401달러(+2.3%)로 상승
* 하이브리드(22,837달러, +2.1%), 플러그인하이브리드(28,442달러, △3.9%), 전기차(36,133달러, +1.5%)
더불어, 중형 휘발유차량 17,126달러(+4.5%) 및 대형 휘발유차량이 28,895달러(+8.9%)로 상승하며 전체 수출단가 상승에 영향
(수입) 친환경 차량 42,271달러(전년동기대비 △6.6%)로 하락, 중형 경유차량 27,553달러(△14.5%) 및 대형 경유차량 73,566달러(△5.8%) 등도 동시에 하락하며 전체 승용차 수입 단가 하락
■ 2022년 연간 승용차 교역현황
(금액) 2022년 연간 승용차 수출액은 490억 달러(전년대비 +15.0%)로 증가하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수입액은 140억 달러로(+8.9%) 증가
(대수) 수출대수는 231만 대로(전년대비 +10.1%) 증가, 수입대수는 32만 대로(+8.8%) 증가
차량용 반도체 수급 상황 개선, 친환경차 수요 확대, 북미·EU 및 주요국 수요회복 등으로 역대 최대 수출실적 기록
* 연도별 수출액(억달러) :(2018)374.6→ (2019)394.3→ (2020) 346.8→ (2021) 426.4→ (2022) 490.2
1. 수출
(국가별) 주요 수출 대상국(금액기준)은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순으로
미국(+29.7%)·캐나다(+8.7%)·호주(+33.4%)·영국(+16.1%)·독일(+4.0%)·이스라엘(+30.4%)·사우디아라비아(+31.4%) 등은 전년대비 증가
프랑스(△1.8%)·네덜란드(△15.7%)·이탈리아(△9.4%) 등 전년대비 감소
(종류별) 친환경 승용차 수출액은 160억 달러(전년대비 +37.2%)를 기록하며 역대 최대 실적 달성, 수출비중 역시 역대 최대
세계 경기 둔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 어려운 여건에도 친환경 승용차 수출은 성장세를 지속하며, 전체 승용차 수출 견인
* 친환경차 수출액(억달러) :(2018)42.7→ (2019)59.8→ (2020) 71.3→ (2021) 116.3→ (2022) 159.6
* 친환경차 수출액 비중 :(2018)11.4→ (2019)15.2→ (2020) 20.6→ (2021) 27.3→ (2022) 32.6
* 하이브리드(62.1억 달러, 비중 12.7%), 플러그인하이브리드(16.4, 3.4%), 전기차(81.1, 16.5%)
미국(+120.1%)·영국(+18.5%)·독일(+0.01%) 등으로 수출 전년대비 증가
2. 수입
(국가별) 주요 수입 대상국(금액기준)은 독일, 미국, 오스트리아, 영국 순으로
독일(+16.7%)·미국(+7.7%)·오스트리아(+8.3%)·영국(+39.1%) 등은 전년대비 증가, 일본(△52.5%)·이탈리아(△33.3%)·스웨덴(△19.8%) 등은 감소
(종류별) 친환경차(전년대비 +15.5%), 중형차(+6.0%) 위주로 증가
* 친환경차(수입비중 47.0%), 중형차(24.7%)
2022년 친환경차 수입액은 65.9억 달러(+15.5%), 수입비중은 47.0%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며 친환경차 수입비중 확대 지속
* 하이브리드(41.0억 달러, 비중 29.3%), 플러그인하이브리드(5.5, 3.9%), 전기차(19.4, 13.9%)
* (2018) 9.2→ (2019) 11.7→ (2020)25.8→ (2021) 44.4→ (2022) 47.0
3. 수출입 단가
(수출) 승용차 수출 평균단가(대당)는 21,253달러(전년대비 +4.4%)로 상승, 수입 평균단가는 43,100달러(+0.1%)로 상승
친환경차 수출단가는 28,467달러(△0.5%)로 하락
* 하이브리드(22,258달러, △3.3%), 플러그인하이브리드(28,826달러, △3.7%), 전기차(36,075달러, +2.0%)
반면, 중형 휘발유차량 16,946달러(+7.2%) 및 대형 휘발유차량이 28,439달러(+10.1%)로 상승하며 전체 수출단가 상승에 영향
(수입) 친환경 차량은 47,415달러(전년대비 △3.9%)로 하락하였으나, 대형 휘발유차량 61,080달러(+9.8%) 및 중형 휘발유차량 31,931달러(+3.2%) 등이 상승하며 전체 승용차 수입 단가 상승
※ 신고수리일 기준 확정치로 연간 통계확정 시(2023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