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자동차 생산13.1%, 수출 7.8% 전월대비 각각 증가

Post Views: 73UPDATEED: 2023-02-21 07:29:44https://webdraw.net/?p=7339
2023년 1월 자동차 생산13.1%, 수출 7.8% 전월대비 각각 증가
▲ 2023년 1월 자동차산업 동향

2023.1월 자동차 산업은 전년동월(2022.1월) 대비 생산 13.2%, 내수 4.7%, 수출 11.3% 증가(수출금액 21.9%)한 것으로 잠정 집계


특히, 1월 수출금액은 49.8억 달러로 역대 1월 중 최고 수출액을 기록


* 역대 1月 자동차 수출액(억불) : (1위)49.8(2023.1월) → (2위)42.0(2013.1월) → (3위)40.9(2022.1월)


부품 수출액은 대중국 수출 감소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16.2% 감소


* 중국 수출액 : $0.7억(△43.2%) / 중국 설 연휴기간 : 1.21∼1.27일


1. 자동차


▲ 2023년1월 업체별 생산 현황 


(생산) 2023.1월 국내 자동차 생산은 車반도체 수급난 완화 등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13.2% 증가한 30.7만 대


(현대차·기아) 신차인 그랜저, 아이오닉6의 생산과 기존 주력모델인 쏘나타, 투싼, K8, 스포티지 등의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전년동월 대비 18.8%(현대차), 5.3%(기아) 증가


(중형3사) 한국지엠은 트레일블레이저 생산 증가, 쌍용차는 토레스의 생산으로 전년동월 대비 43.9%(한국지엠), 58.4%(쌍용차)로 크게 증가


르노코리아의 경우 XM3, QM6 생산 감소로 전년동월 대비 21.2% 감소


(내수) 2023.1월 내수 판매량은 대기수요를 바탕으로 전체 생산량 증가가 판매 증가로 이어지면서 전년동월 대비 4.7% 증가한 11.7만 대


승용차 모델별 1월 내수 상위 5개 모델은 모두 국산차가 차지하였으며, 쌍용 토레스가 월 최초로 5,000대 돌파하여 탑5에 진입


* 판매량 상위 모델 : [1위]그랜저(9,131대), [2위]카니발(6,904대), [3위]아반떼(6,100대), [4위]스포티지(5,492대), [5위]토레스(5,444대)


(국산차) 그랜저를 중심으로 한 대형세단의 인기와 하이브리드 모델의 판매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6.9% 증가한 10.0만 대


* 하이브리드(국산) 판매량 : (2022.1월) 1.2만대 → (2023.1월) 1.7만대


(수입차) BMW, 아우디 등의 판매증가에도 벤츠, 폭스바겐, 포드 등의 내수판매가 큰폭으로 감소하여 전년동월 대비 7.0% 감소한 1.6만 대


* 주요 수입사 판매량 : BMW(6,089대, 9.7%), 벤츠(2,900대, △14.8%), 아우디(2,454대, 93.4%), 폭스바겐(196대, △83.8%), 포드(246대, △59.3%)


(수출) 2023.1월 자동차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11.3% 증가한 20.1만 대며, 수출액은 전년동기 대비 21.9% 증가한 49.8억 달러


승용차 모델별 1월 수출 상위 5개 모델은 경형·소형차와 SUV가 차지


* 수출량 상위 모델 : [1위]아반떼(15,446대), [2위]트레일블레이저(15,311대), [3위]코나(12,633대), [4위]모닝(11,912대), [5위]니로(11,864대)


(수출량) 기아, 한국지엠, 쌍용차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두 자릿수로 증가율을 보이면서 전체 수출량 증가를 견인


현대차는 전기차 수출은 증가했으나 SUV의 감소로 전년동월 대비 1.1% 증가하였고, 르노는 XM3 수출 감소로 전년동월 대비 10.3% 감소


* 증가율 : (현대차) 1.1%, (기아) 19.7%, (한국GM) 32.3%, (쌍용차) 42.1%, (르노) △10.3%


(수출액) 전기차와 하이브리드를 중심으로 수출단가가 높은 친환경차 수출 증가로 역대 1월 중 최고인 49.8억 달러(기존 42.0억, 2013.1월) 기록


* 평균 수출단가 : (내연기관) 약 2만 달러, (친환경차) 약 3만 달러


2. 친환경차


img.png 


(내수) 친환경차 1월 내수는 전년동월 대비 28.9% 증가한 2.3만 대


(하이브리드) 그랜저, K8, 투싼, 스포티지 등 대형 세단과 SUV 모델 판매량 증가로 전년동월 대비 44.0% 증가한 2.1만 대


(전기차) 전년도 보조금 소진영향 및 2023년 전기차 보조금 확정(2.13) 등의 영향으로 642대 판매


(수출) 친환경차 1월 수출은 전년동월 대비 29.8% 증가한 5.7만 대며, 수출액은 전년동월 대비 42.3% 증가한 17.9억 달러로 지난달에 이어월간 수출량과 수출액 모두 역대 최고치를 경신


* 종전 월간최고 수출량/수출액 : 55,051대(2022.12월) / 17.6억불(2022.12월)


(수출량) 하이브리드를 비롯한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소차 모두 전년동월 대비 수출량이 증가하면서 역대 최고 수출량을 경신


* 수출량(승용 기준) : (HEV) 23,956대(전년동월比 6.0%↑), (BEV) 27,223대(전년동월比 63.1%↑),(PHEV) 5,420대(전년동월比 24.6%↑), (FCEV) 97대(전년比 102.1%↑)


특히, 전기차는 아이오닉5, EV6의 꾸준한 해외 수요 및 아이오닉6의 미국 수출개시, 내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63.1% 증가


(수출액) 친환경차 수출액은 2개월 연속으로 17억불을 상회하였으며, 전체 수출액 중 친환경차 수출액 비중은 최초로 35%를 돌파


* 수출액(전년동월比) : 전기·수소차 10.6억불(66.8%), 하이브리드 5.7억불(12.9%), PHEV 1.7억불(35.5%)


3. 자동차 부품


2023.1월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중국을 중심으로 미국, EU 등 주력시장 수출 감소에 따라 전년동월 대비 16.2% 감소한 17.3억 달러 기록


* 명절 연휴 : (2022년) 1.31∼2.2일, (2023년) 1.21∼24일 / 2023년 중국 명절연휴 : 1.21~1.27일

* 2023.1월 수출액(전년동기 대비) : 미국 $6.0억(△10.7%), EU $3.0억(△16.0%), 멕시코 $1.6억(9.0%), 인도 $1.0억(18.1%), 중국 $0.7억(△43.2%), 중남미 $2.5억(3.4%)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스토리
  • 텀블러
  • 링크드인
  • 카카오톡 보내기
  • 네이버밴드
  • 네이버블로그
  • pint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