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2023년 10월 세계경제성장률 3.0%, 한국 1.4% 전망

Post Views: 125UPDATEED: 2023-10-11 05:49:13https://webdraw.net/?p=7890
IMF 2023년 10월 세계경제성장률 3.0%, 한국 1.4% 전망
▲ 2023년 10월, IMF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은 10.10일(화) 09:00시(모로코 표준시, 한국시각 17:00) 10월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을 발표했다. 오늘 발표된 세계경제전망 보고서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제통화기금은 연간 4차례(1·4·7·10월) 세계경제전망 발표, 4월·10월은 전체 회원국 대상 주 전망이며, 1월·7월은 주요 30개국 대상(우리나라 포함) 수정 전망


국제통화기금은 세계경제에 대해 복합적인 평가(Stable but Slow)를 내놨다. 올해 상반기에는 코로나 종식에 따라 서비스 소비가 급증하고, 미국·스위스 발(發) 금융불안이 조기에 진정되면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였으나, 이후 중국 경기침체가 심화되고 제조업 부문 부진이 지속되면서 성장세가 점차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국제통화기금은 올해 성장률은 7월 전망치를 유지(3.0%)하였으나 2024년 성장률은 0.1%p 하향한 2.9%로 전망하였다.


한편,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은 7월 전망과 동일하게 1.4%를 유지하였고 내년 성장률은 2.2%로 0.2%p 하향조정 되었다.


국제(글로벌) 물가상승률에 대해서는 고금리 기조,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라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높은 근원물가로 인해 물가안정목표 달성에는 상당시간이 소요(Gradual Decline to Target)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제통화기금은 대부분 국가에서 2025년에 물가안정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 소비자물가상승률(%): (2022) 8.7, (2023) 6.9(7월 전망 比 +0.1%p), (2024)5.8(+0.6%p)

* 근원물가상승률(%):   (2022) 6.4, (2023) 6.3(7월 전망 比 +0.3%p), (2024)5.3(+0.6%p)


마지막으로 국제통화기금은 섣부른 통화정책 완화를 지양하고 물가상승률 하락세가 명확해질 때까지 긴축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정정책에 대해서는 통화정책과 발맞춰 지출감소, 세입 확충 등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권고하였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구조개혁, 규제개선을 통해 경제전반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 동 자료는 보도 편의를 위해 국제통화기금(IMF) 보고서를 요약·정리한 것으로 보다 상세한 내용은 국제통화기금(IMF) 누리집(www.imf.org)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국제통화기금(IMF) 누리집: https://www.imf.org

  • 페이스북
  • 트위터
  • 텀블러
  • 링크드인
  • 카카오톡 보내기
  • 네이버밴드
  • 네이버블로그
  • pinterest
  • 링크복사